반응형 디버깅2 웹 성능 최적화: 네트워크 관점에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FCP, LCP, TTFB 등 주요 지표 이해부터 Chrome DevTools 활용, 이미지 최적화, CDN 사용 전략까지 개발자가 자주 마주치는 성능 최적화 문제들을 다루면서, 동시에 신입 개발자나 취준생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했습니다. 코드보다는 개념과 도구 사용법을 중심으로 작성했으니 도움되시길 바라겠습니다.1. 웹 성능의 기본 지표 이해하기웹 성능 최적화를 시작하기 전에, 우리가 무엇을 측정하고 개선해야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FCP: 사용자가 첫 콘텐츠를 볼 때까지의 시간LCP: 가장 큰 콘텐츠가 보일 때까지의 시간TTFB: 서버가 첫 응답을 주는 시간1-1. First Contentful Paint (FCP)의 중요성FCP는 사용자가 페이지에 처음 접속했을 때 의미..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24. HTTP 상태 코드 가이드 [예시 & 해결책] 취준생의 관점에서 정리한 HTTP 상태 코드! 면접 준비하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기술 면접에서도 자주 나오는 내용이니 꼭 숙지하시면 좋겠습니다 😊 들어가며: HTTP 상태 코드의 중요성백엔드 개발자 취준생으로서 면접을 준비하다 보니, HTTP 상태 코드에 대한 질문이 정말 많이 나오더라구요. "REST API에서 리소스 생성 시 어떤 상태 코드를 반환해야 할까요?""인증 실패와 인가 실패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이 외 여러가지 질문을 받은 경험이 있고, 이런 면접 질문들에 대비하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특히 면접관분들이 자주 물어보시는 부분들을 중심으로 정리했으니, 함께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1. 상태 코드를 제대로 알아야 하는 이유명확한 의사소통프론트엔..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8.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