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능최적화3 웹 성능 최적화: 네트워크 관점에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FCP, LCP, TTFB 등 주요 지표 이해부터 Chrome DevTools 활용, 이미지 최적화, CDN 사용 전략까지 개발자가 자주 마주치는 성능 최적화 문제들을 다루면서, 동시에 신입 개발자나 취준생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했습니다. 코드보다는 개념과 도구 사용법을 중심으로 작성했으니 도움되시길 바라겠습니다.1. 웹 성능의 기본 지표 이해하기웹 성능 최적화를 시작하기 전에, 우리가 무엇을 측정하고 개선해야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FCP: 사용자가 첫 콘텐츠를 볼 때까지의 시간LCP: 가장 큰 콘텐츠가 보일 때까지의 시간TTFB: 서버가 첫 응답을 주는 시간1-1. First Contentful Paint (FCP)의 중요성FCP는 사용자가 페이지에 처음 접속했을 때 의미..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24. REST API vs GraphQL: 프로젝트 관점에서 본 차이점 총정리 REST API와 GraphQL,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되신다면,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REST API의 기본을 바탕으로, GraphQL과의 차이점을 프로젝트 관점에서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2025.01.08 -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 RESTful API 설계 가이드 RESTful API 설계 가이드RESTful API는 현대 웹 개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이 글에서는 RESTful API의 기본 개념부터 실제 설계 방법, API 문서화까지 체계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HTTP 메서드의 올바5mincut.tistory.com1. GraphQL이 REST API와 다른 점1-1.GraphQL이 등장하게 된 배경Facebook이 2012년에 개발하..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21. 캐시(Cache) 전략: 브라우저부터 CDN까지 웹 성능 최적화의 핵심, 캐시 전략! 브라우저부터 CDN까지 캐시의 전체 흐름을 알기 쉽게 설명해 보았습니다. 자주 마주치는 캐시 문제부터 최적화 방법까지 정리해봤습니다!1. 캐시(Cache)란 무엇인가?온라인 쇼핑몰에서 자주 구매하는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아두는 것처럼, 웹 개발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가까운 곳에 임시로 저장해두면 편리하죠. 이것이 바로 캐시(Cache)의 기본 개념입니다.캐시의 기본 개념과 필요성캐시는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두는 고속 저장소입니다. 데이터를 매번 원본 저장소에서 가져오는 대신, 캐시에 저장된 복사본을 활용하여 접근 속도를 높이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실생활의 예)자주 입는 옷을 행거에 걸어두는 것 (옷장에서 매번 꺼내지 않아도 됨)자주 쓰는 연필을..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16.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