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웹통신시리즈20 CORS 정책 이해하기 & 문제 해결 방법 웹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CORS! 많은 개발자들이 실제 프로젝트에서 자주 겪는 CORS 에러의 원인과 그 해결 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립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 개발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 CORS 정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왜 발생하는지에 대한 기본 개념부터 시작해, 다양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전략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CORS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하며, 웹 보안의 기본 개념부터 실제 중요성까지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CORS가 필요한 이유브라우저 보안의 기본 원칙인터넷의 세계는 생각보다 위험합니다. 여러분이 은행 웹사이트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악의적인 웹사이트에 접속했다고 상상해 보세요. 만약 브라우저에 보안 정책이 없다면, 그 악성 웹사이트는 여러..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15. 웹 보안 기초: XSS, CSRF, SQL Injection 방어하기 웹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3대 보안 취약점! 실제 공격 사례와 함께 XSS, CSRF, SQL Injection의 개념부터 효과적인 방어 전략까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당신의 웹 애플리케이션은 안전하신가요?!웹 보안이 중요한 이유웹 보안! 개발자라면 한 번쯤 고민해보셨을 주제일 텐데요. 최근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은 보안 인력과 예산이 부족해 더 큰 위험에 노출되어 있죠.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XSS, CSRF, SQL Injection 같은 기본적인 웹 취약점으로 인한 피해를 겪고 있습니다.최근 웹 보안 사고 통계와 피해 규모웹 보안 사고는 기업의 명성뿐만 아니라 재정적으로도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평균 보안 사고 복구 비용..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13. OAuth 2.0 인증 완벽 이해하기: 인증 플로우부터 보안까지 웹 서비스의 핵심 인증 프로토콜인 OAuth 2.0! 인증 플로우의 기본 개념부터 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보안 고려사항까지, 초보 개발자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OAuth 2.0의 핵심을 알기 전에, 먼저 근본적인 개념부터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인증과 인가의 차이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실제 서비스 구현에서도 이 둘을 구분하지 못해 발생하는 보안 이슈가 꽤 많기 때문입니다.인증(Authentication)과 인가(Authorization)의 차이인증과 인가는 보안 분야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입니다. 간단한 비유를 통해 설명해 보겠습니다.공항에서 비행기를 탄다고 생각해 봅시다.인증(Authentication): 공항 검색대에서 여권이나 신분증을 통해 "당신이 누구인지"..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12. JWT 인증/인가 완벽 이해하기 JWT(JSON Web Token)는 현대 웹 개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증/인가 방식입니다. 특히 React, Vue와 같은 SPA 프레임워크의 등장과 MSA 환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죠. 이 글에서는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의 개념부터 토큰 탈취 예방법, OAuth 2.0 연동까지 필요한 모든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JWT(JSON Web Token) 인증과 인가 이해하기1. JWT의 기본 개념과 특징1.1 JWT가 등장하게 된 배경웹 환경의 변화2010년대 초반, 웹 서비스 환경은 큰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단순한 웹사이트를 넘어 React, Vue와 같은 SPA(Single Page Application) 프레임워크가 등장했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폭발..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11. RESTful API 설계 가이드 RESTful API는 현대 웹 개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이 글에서는 RESTful API의 기본 개념부터 실제 설계 방법, API 문서화까지 체계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HTTP 메서드의 올바른 사용법과 실제 프로젝트에서 자주 사용되는 예제를 통해, RESTful API 설계의 핵심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1. RESTful API의 기본 개념과 특징1.1 REST 아키텍처가 등장하게 된 배경당시 상황1990년대 초반 웹의 폭발적 성장으로 인해 각 기업들이 독자적인 통신 프로토콜 사용.HTTP 공통 프로토콜이 있었으나, 사용방식이 제각각이여서 서로 다른 시스템 간 통신 복잡.해결책 제시2000년 로이 필딩의 박사 논문에서 REST 제안. 웹 기존 기술(HTTP,URL,..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10. Cookie와 Session 동작 원리 & 실제 구현 방법 웹 개발을 하다 보면 반드시 마주치게 되는 Cookie와 Session! 하지만 정작 이들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통해 쉽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1. Cookie와 Session은 왜 필요할까?우리가 자주 가는 카페를 생각해 봅시다. 처음 방문했을 때는 직원이 나를 모르지만, 단골이 되면 "이전처럼 아메리카노 얼음 많이 ㄱㄱ??"라고 물어보곤 합니다.이는 직원이 우리의 이전 주문 내역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죠. 웹에서의 쿠키와 세션도 이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1.1 HTTP 프로토콜의 특징과 한계HTTP 프로토콜은 웹의 기본적인 통신 방식이며, 두 가지 중요한 특징이 있습니다:)Connectionless..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9. HTTP 상태 코드 가이드 [예시 & 해결책] 취준생의 관점에서 정리한 HTTP 상태 코드! 면접 준비하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기술 면접에서도 자주 나오는 내용이니 꼭 숙지하시면 좋겠습니다 😊 들어가며: HTTP 상태 코드의 중요성백엔드 개발자 취준생으로서 면접을 준비하다 보니, HTTP 상태 코드에 대한 질문이 정말 많이 나오더라구요. "REST API에서 리소스 생성 시 어떤 상태 코드를 반환해야 할까요?""인증 실패와 인가 실패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이 외 여러가지 질문을 받은 경험이 있고, 이런 면접 질문들에 대비하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특히 면접관분들이 자주 물어보시는 부분들을 중심으로 정리했으니, 함께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1. 상태 코드를 제대로 알아야 하는 이유명확한 의사소통프론트엔..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8. HTTP부터 TCP/IP까지: 웹 통신의 모든 것 웹 개발자로서 네트워크 통신의 기본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웹 브라우저의 요청 흐름부터 HTTP/HTTPS의 차이,TCP/IP 통신의 핵심 개념까지 웹 통신의 핵심 개념들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DNS 조회부터 서버 연결, 데이터 전송 과정까지 모든 것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1. 웹 브라우저의 요청 처리 과정1.1 DNS 조회와 IP 주소 확인1.2 서버 연결과 로드 밸런싱2. HTTP와 HTTPS 프로토콜2.1 HTTP 프로토콜의 기본 구조2.2 HTTPS의 보안 메커니즘3. TCP/IP 프로토콜의 동작 원리4. 네트워크 4 계층 구조5. HTTP 상태 코드 가이드1. 웹 브라우저의 요청 처리 과정웹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를 로드할 때, 여러분의 요청은 어떤 과정을 거칠까..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8. 이전 1 2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