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프라4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클라우드 네트워크,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이번 글에서는 AWS VPC 설계부터 보안, 고가용성, 비용 최적화까지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핵심 개념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리전 선택 전략, 서브넷 설계, 로드밸런서 활용법, 네트워크 비용 절감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하고 가세요! 1. 클라우드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클라우드 시스템을 처음 접하면 많은 분들이 "온프레미스와 뭐가 다르지?", "네트워크 구성은 어떻게 해야 하나?" 하는 고민을 하실 텐데요. 오늘은 AWS를 중심으로 클라우드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부터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1. 클라우드 컴퓨팅과 네트워크의 관계클라우드는 마치 거대한 데이터센터의 컴퓨터들을 인터넷을 통해 빌려 쓰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런 환경에서 네트워크는 단순한..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2. 5. Docker 네트워크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Docker 네트워크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구성은 현대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컨테이너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을 시작으로, Docker가 제공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드라이버와 주요 명령어를 살펴보겠습니다.1. Docker 네트워크의 이해1-1. 컨테이너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컨테이너는 기본적으로 격리된 환경에서 동작하지만, 실서비스를 위해선 외부와 통신해야 하죠. 그래서 Docker는 가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서 컨테이너 간, 또는 외부와의 통신을 관리해 줍니다. 컨테이너가 생성되면 도커 엔진이 자동으로 각 컨테이너에 고유한 IP 주소를 부여합니다. 기본 브리지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컨테이너를 재시작할 때마다 IP가 바뀔 수 있지만, 사용자 정의 네트워크를 활용..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2. 4. 최신 DNS 및 도메인 관리 가이드 DNS와 도메인, 기초부터 차근차근 정리했습니다! 네임서버 구성부터 DNSSEC까지, 면접에서 자주 물어보는 내용 위주로 준비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환경에서 자주 마주치는 DNS 설정과 보안까지, 웹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기초 지식을 쉽게 풀어봤습니다.1. DNS의 기본 개념과 동작 원리1-1. DNS란 무엇인가: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이해인터넷의 전화번호부라고도 불리는 DNS(Domain Name System)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예: www.example.com)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예: 192.0.2.1)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입니다. 실생활로 비유하자면 도메인은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와 같은 주소IP는 위도/경도 좌표와 같은 실제 위치 정보DNS 서버는 주..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2. 3. 로드밸런서 동작 원리 &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로드밸런서의 동작 원리와 실무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ㅎㅎ 로드밸런서는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켜 고가용성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 글은 로드밸런싱에 대한 지식을 원하지만, 막막한 초보자와 취업 준비생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열심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로드밸런서 기본 개념과 필요성카카오톡 장애나 넷플릭스 접속 폭주 등 우리가 자주 겪는 서비스 장애의 대부분은 트래픽 과부하 때문에 발생합니다. 2023년에도 여러 대형 서비스들이 트래픽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 바로 로드밸런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로드밸런서가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1... 웹 개발 기초 - 프론트/네트워크ㆍ통신 2025. 1. 23.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